청년희망적금 자격 신청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이 내용을 끝까지 읽고 나면 청년희망적금 자격 신청을 이해하시게 될 것입니다. 청년희망적금 자격 신청이 궁금하다면 끝까지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에서 모두 공유해드리겠습니다.
목차
청년희망적금이란?
정부에서 청년들에게 자산형성을 도와주고자 여러 청책을 시행하고 있는 가운데, 2021년 발표한 뉴딜 청잭 2.0 추진계획을 통해 진행되는 청년정책 중에는 청년 희망적금이라는 정책이 있습니다.
저축장려금으로 저축액의 4%의 수준의 기존의 일반 적금보다 높은 금리로 장려금을 제공하여 청년들에게 목돈을 모으는데 큰 도움을 주는 정책입니다.
기존 적금보다 높은 이자를 주니 적금을 이용하시는 분들은 많은 혜택이 있는 적금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을 신청을 하기 위해선, 여러가지 조건이 있는데, 자세한 방법은 아래 포스팅에서 자세하게 가리켜 드리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지원내용
청년희망적금 상품은 2년만기 상품입니다. 월 최대 50만 원을 저축할 수 있으며, 청년희망적금의 최대 지원 혜택은 시중이자 + 1년 차는 2%, 2년 차는 4%의 장려금을 추가로 제공합니다. 이에 따라 월 50만 원씩 연 600만 원을 저축하였을 시에는 시중이자 + 36만 원의 장려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이때 이자소득은 비과세 입니다.
지원자격
소득
국세청에 등록된 2020년, 2021년 연간 총 급여 3600만 원 (종합소득세 2600만 원) 이하
나이 제한
만 19세 ~ 34세 (가입일 기준)
청년희망적금 신청방법
●11개 시중 은행 앱을 통해 가입 가능
병역 이행을 한 1987년 2월 21일 이전 출생자의 경우에는 미리보기를 통해서 가입이 어렵기 때문에 대면으로 가입 가능 여부를 체크해야 합니다.
2월 9일부터 18일까지 '미리 보기'를 통해서 가입 가능여부의 경우 2~3일 이내에 문자 알림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품이 정식 출시 될 경우 미리보기를 진행한 은행에서 연령이나 개인소득 확인절차를 따로 하지 않고 바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서비스의 경우 영업일 주말 제외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영됩니다.
청년희망적금 신청방법(은행)
●총 11개 은행 (6월 하나 추가 예정)
11개 은행으로 신한, 국민, 우리, 하나, 농협, 부산, 기업, 대구, 전북, 광주, 제주은행이 있으며 2022년 6월에는 SC제일은행이 추가 예정입니다. 가입 희망자의 경우 2022년 2월 21일 월요일에 11개 시중 은행 중에서 하나를 택해서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에 참여한 경우에는 미리보기를 한 은행에서 바로 가입 가능하며, 참여하지 않은 경우 별도의 가입 요건을 거친 후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제출서류
소득이 없는 경우는?
●국세청을 통하여 증명이 가능하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소득이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국세청을 통해서 증명이 불가능하면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위 부분에 대해서도 '적금 미리 보기'기간을 통해서 적극 활용한다면 쉽게 가입 대상 여부에 대해서 체크할 수 있습니다.
같이 읽을만한 게시물
-
-
청년희망적금 자격 신청을 공유해보았습니다. 모두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게 있다면 상단의 글들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게시글이 유용하셨다면 구독, 좋아요, 하트(공감)를 해주시면 블로그 운영에 보탬이 됩니다.
댓글